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정서이론

심리학

by kugi1090 2021. 12. 25. 10:01

본문

반응형

정서는 신체 변화가 동반된다. 정서와 신체 변화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우리는 즐거워 웃음을 웃고, 슬퍼서 눈물을 흘리는가? 아니면 웃다 보니 즐거워지고, 눈물이 흘러 슬퍼지는 것일까?

여러 학자들은 정서와 신체적 반응에 대해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였다. 널리 알려진 전통적인 정서 이론으로는

James-Lange 이론, Cannon-Bard 이론 그리고 Schachter 이론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정서에 관한 최신 모형으로

Frijda 모형, Clore 모형과 Lazarus 모형을 들 수 있다.

 

James-Lange 이론

20세기 초에 James와 Lange는 신체 변화의 결과라는 가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들은 정서는 신체 경험에 뒤따르는 현상이라고 주장하였다. 예를 들어, 만일 숲 길을 걸어가다가 회색곰을 마나게 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당신의 근욕, 내장 기관에 변화가 발생될 것이다. 즉 얼굴은 상기되고, 식은땀이 나며, 동공은 커지고, 호흡이 가파오기 시작할 것이다. 그리고 느껴지는 공포감은 이러한 신체적 변화를 자각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 모든 것들은 거의 순간에 그리고 반사적이며 자동적으로 일어난다. 

정서는 바로 신체 변화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보는 이러한 주장은 상식과 부합되지 않아 일반인들을 당황스럽게 만든다. 그러나 이런 경우를 가정해 보자. 길을 건너려는데 갑자기 자동차가 나를 향해 돌진해 왔다. 황급히 몸을 피해 위험을 감수한 후 식은 땀이 나며 손발이 후들거리는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 큰일 날뻔했다는 공포감을 느끼고 다행이라는 안도감을 그 후에 느끼게 된다. 따라서 James-Lange 이론은 제한적이긴 하나 우리의 정서 경험을 설명해 주는 이론이다.

 

Cannon-Bard 이론

Cannon은 두뇌에 정서 중추가 있어서 정서를 담당하고 있는데, 그 기관이 바로 시상이라고 하였다. 정서 자극이 지각되면 시상으로 전달되고 시상에서 하나는 대뇌 피질로 정보가 정보가 전달되어 정서 경험을 느끼게 하고, 다른 하나는 대뇌 피질로 정보가 전달되어 신체 변화를 가져온다고 주장하였다. 이후에 Bard에 의해 이러한 주장은 확장됨으로써 이 정서 이론을 Cannon-Bard 이론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런데 이 이론은 정서 중추를 상정하고 이 중추에서 정서를 처리했다는 진전은 있었으나 이후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정서 중추는 시상이라기 보다 변연계에 이르는 회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박천식,1999)

 

Schachter 이론

Schachter 이론에 따르면 정서 경험이란 환경에서 정서 자극이 출현하면 불특정한 신체 반응이 나타나고, 그 불특정한 신체반응을 설명할 수 있는 상황 단서를 찾아 해석한 결과이다. 즉 그가 주장하는 바는 정서 경험이란 신체 반응에 대한 인지적 해석의 결과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신체에 발열과 심장 박동을 촉진시키는 약물을 주사한 후 불안하고 불편한 환경에 처한 채 대기 중인 경우와, 같은 먁물을 주사한 후 즐겁고 유쾌한 환경에서 대기 중인 경우를 가정해 보자. 대기 중인 두 사람의 경우에 동일하게 신체적 반응은 발생할 것이다. 그러나 신체적 반응에 대한 자신의 지각에는 차이가 있게 된다. 즉, 심장이 뛰기 시작하는 것이 주변의 불안을 야기시키는 환경 때문으로 지각하고 해석하는가, 즐겁게 웃다 보니 땀도 나고 가슴도 뛰는구나 라고 지각하고 해석하는가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정서 경험에는 신체 반응과 인지적 해석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 이론을 정성의 이용인 이론이라고도 한다.

 

정서에 관한 최신 모형

Nico Frijda(1994)에 따르면 정서는 평가요소를 포함한다. 평가요소는 사람들의 관심 및 안영과 관련된 어떤 일이 발생했음을 개인의 인지와 행동체계에 알려주는 신호 장치로써의 기능을 한다. 즉 공포가 현재 솽황에서 어떤 해로운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마음의 방식이라고 본다. 그는 긍정적 정서는 동기 혹은 목표에 대한 만족, 삶의 활력소의 증가 그리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입증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Geral Clire는 정서는 사건의 결과에 초점을 맞추거나, 각 행위의 작용, 그리고 대상의 속성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분류된다고 제안했다. 사건의 결과에 초점을 둔 사람들은 결과에 따라 기쁘거나 화가 나고, 행위에 초점을 둔 사람들은 내적 표준을 가지고 칭찬할만하다 또는 비난할만하다고 평가되는 행동의 범주 내에서 정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팬들은 자기 팀이 뛰어나게 높은 수준의 경기를 했을 때 자부심을 느끼게 된다. 또한 대상의 속성에 초점을 둔 사람들은 그 속성이 매력적이거나 매력이 없다는 것을 발견함에 따라 정서는 달리 발생한다. 즉 연인의 성취에 감탄하기보다 그 연인이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매력 때문에 사랑을 느낀다. RichardSazarus 모형의 기본적인 구성 개념은 정서가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개인의 평가에서 발견한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정서에 관한 심리학 이론들은 정서가 개인의 목표와 관련된 사건을 고려하는 인지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덧부여 정서가 사람들 간/내에서의 역학을 한다고 가정한다. 긍정적, 부정적 정서는 사건이 개인의 목표에 양립하는가 혹은 그렇지 않다고 판단되는가에 따라 구별된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지능 이론  (0) 2021.12.28
성격이론  (0) 2021.12.26
Maslow의 욕구위계이론  (0) 2021.12.23
조작적 조건형성  (0) 2021.12.22
심리학 고전적 조건형성  (0) 2021.12.22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