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몰랐찌?

배달음식 시킬 때 꼭 확인하셔야 됩니다. (ft . 위생등급)

kugi1090 2022. 1. 25. 08:02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주제는 배달음식 시킬 때

꼭!! 확인해야 되는 정보입니다.

일반적인 식당이라면 주방이 밖에서

어느정도 보이니 그나마 확인이 되는데

배달로 시킨 음식이 위생적인지는

알기 어렵다고 생각하실 겁니다.

그런데 다행히 방법이 하나 있어요.

식당 들어가기 전에

아래 이미지 안내문 보신적 있으신가요?

이게 머냐면 식약처에서 인증하는 위생등급심사에서

인증을 받았다는 표시입니다.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제과점 할거 없이

가게 주인이 신청만하면 해당 지자체에서

그 식당을 점검하러 갑니다.

그래서 음식물재사용, 개인위생준수여부,

식재료유통기한,
조리장관리상태, 화장실청소상태

등등 총 64개 항목을


점검하고 점수를 매기는데요,

90점이상이면 매우우수 별3개,

85점이상이면 우수 별2개,

80점이상이면 좋음 별1개를 받게됩니다.


여기서 인증을 받으면 가게앞에 붙여서

홍보할수 있도록 현판을 줍니다.

중요한건 이게 배달앱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는 겁니다.


배민부터 확인해볼께요.

앱에 들어가셔서 카테고리를 고르면

이렇게 위생정보가 뜹니다.

위생정보를 클릭하게 되면

이런식으로 식약처 인증가게를 확인할 수 있구요

그리고 정보를 클릭하게 되면

언제 인증을 받았고 또 별이 몇개인지까지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함정이 있는데요.

위생정보라고 되있어도

다 식약처 인증을 받은게 아니에요.


실제로 클릭해보면 이런식으로 위생정보가게라고

되있는 곳은 단순히 세스코같은 방역업체에서

점검을 받았다는 표시니까

식약처 등급과는 천지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요기요를 알아볼께요.

아쉽게 목록에서는 등급이 바로 표시되지 않아요.

대신 업체를 클릭하면 상호 위쪽에

위생등급제 표시가 되어 있는걸 볼 수 있죠.

위생등급제 점수가 없는 식당이

꼭 나쁜 식당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면 강제로 모든 식당을 점검하고

평가하는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필수가 아님에도 식당주인 스스로

신청해서 등급제 평가를 받는 곳이라면

최소한 위생관리 만큼은 자부심이 있는

식당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인거죠.

이글을 읽는 여러분들이 선택하시면 될 거 같네요.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